JetBrains team이 도쿄, 서울, 베이징을 돌면서 진행하는 행사에 다녀왔습니다. 프로젝트에서 JetBrains의 IntelliJ IDEA를 쓰고 있고, Kotlin에 대한 관심도 있어서 행사 알림과 동시에 신청하여 다녀왔습니다. 다소 늦은 시간에 진행되는 행사였지만 많은 사람들이 참석했습니다. 한국 행사를 주최한 ‘단군소프트’는 참석 신청자가 많아서 장소도 더 넓은 곳으로 옮겼다고 하더군요. 동시 통역으로 진행되어 언어에 대한 큰 불편함은 없었는데 JetBrains 발표자인 Hadi님이 무지 빠르게 진행해서 통역사 분이 소화를 못하더군요. (짧은 영어지만 통역기를 안쓰는 편이 이해하기 좋았다.) 운영의 미숙함(?)과 짧은 발표시간으로 빠르게 진행된 것을 빼면 많은 것을 배운 행사였습니다.
![[CODE] JetBrains Night 서울](https://yujaewook.files.wordpress.com/2016/11/2016-11-24-17-32-32.jpg?w=300&h=300)
Agenda
- IntelliJ IDEA 기반 IDE 들의 Tips & Tricks
- 폴리글랏 프로그래밍
- 관용적 Kotlin을 활용한 소형 DSL 생성
- 지속적인 작업 흐름
IntelliJ IDEA 기반 IDE 들의 Tips & Tricks
발표: Hadi Hariri (http://hadihariri.com/about/)
IntelliJ IDE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DEMO. 마우스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IDE를 사용하는지 보여주었습니다. 각종 세팅이 너무나 빠르게 흘러가서 나중에 행사 동영상이나 자료가 올라오면 꼭 찾아봐야할 것 같네요. 숨겨진 많은 기능들을 보고, 그 동안 IntelliJ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는 반성을 하게 되었습니다.
폴리글랏 프로그래밍
발표: Baekjun Lim (https://www.linkedin.com/in/baekjun-lim-499a1222)
폴리글랏 프로그래밍 전도사 답게 ‘Seven Languages in Seven Weeks’와 ‘Seven More Languages in Seven Weeks’에 소개된 언어들 중 핫한 언어로의 여행. 특히 Haskell, Elixir, Elm의 핵심 개념에 대해서 살짝 짚어주셨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해서 빠삭하게 알지는 못해도 통찰이 있으면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관용적 Kotlin을 활용한 소형 DSL 생성
발표: Hadi Hariri
Kotlin에 대한 맛보기 시간, DSL을 작성하기에 좋은 특성들을 DEMO를 통해서 느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안드로이드 개발에 많이 사용되고 있어 꼭 익혀야할 언어가 되었습니다. (요즘 스칼라를 보다보니 좀 더 이해가 쉬웠습니다.)
지속적인 작업 흐름
발표: Hadi Hariri
JetBrains의 Team tools를 소개하는 시간이었습니다. CI 툴인 TeamCity, 이슈 트래커 YouTrack, 코드 리뷰를 위한 Upsource 그리고 Team tools 통합의 중심에 있는 Hub를 설명해주었습니다. 개발 프로세스 진행 과정에서 Team tools와 IDE가 어떻게 연계되는지 빠르게 훑어보았네요. (시간이 좀 많았으면 말도 빠르지 않고, 찬찬히 이해했을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