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BOOK] 생각정리스킬

[BOOK] 생각정리스킬 – 복주환 지음

[BOOK] 생각정리스킬
[BOOK] 생각정리스킬

부제: “명쾌하게 생각하고 정리하고 말하는 방법”

알마인드(ALMind)는 이스트소프트가 개발한 디지털 마인드맵 프로그램이다. (p. 252)

알마인드의 인연으로 알게된 저자.
마인드맵 소프트웨어를 만들어봤지만 저자처럼 잘 활용하지 못했는데 책을 통해 여러가지 활용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최근 사내 독서모임에 참여하면서 책에 소개된 독서정리스킬을 활용해 볼 예정이다.

독서정리스킬 3단계 (p. 148)
독서 전 독서 – ‘책의 전체상을 머리속에 그리며 이해하는 단계’, 표지, 저자, 머리말 순으로 책을 읽는다.
독서 중 독서 – ‘책의 핵심 내용을 파악하며 독서하는 단계’, 목차, 내용, 정리 순으로 책을 읽는다.
독서 후 독서 – ‘책의 내용과 생각을 정리하는 마지막 단계’, 독서 후기를 작성한다.


  1. 생각을 바꾸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을 바꾸면 습관이 바뀌고, 습관을 바꾸면 결국 운명까지 바뀐다. (p. 7)
  2. 기술은 누구나 배울 수 있는 것이며 꾸준히 훈련하면 누구나 변화할 수 있다. (p. 32)
  3. 생각을 정리할 때 손놀림을 사용하는 행위는 뇌와 긴밀하게 교감하는 연결고리가 된다. (p. 40)
  4. 생각을 열어주는 것은 답이 아니라 질문이다. 질문은 닫힌 생각을 열어준다. (p. 53)
  5.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알아야 그에 맞는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p. 58)
  6. 만다라트는 본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도구이다. (p. 69)
  7. 만다라트는 종이에 가로/세로 9칸씩 모두 81칸의 사각형을 그리는 데서 시작하며, 완성되면 모든 내용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p. 70)
  8. 마인드맵은 ‘생각의 지도’라는 뜻으로, 업무/학습/일상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뇌 사고기법이다. (p. 75)
  9.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모든 사물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라”고 말했는데, 마인드맵은 그 말에 가장 적합한 이론이라 할 수 있다. (p. 77)
  10. 빌 게이츠는 ‘미래의 새로운 길’에서 “앞으로는 디지털 마인드맵과 같은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가 단순한 정보를 유용한 지식으로 바꿔주게 될 것이다”고 말한 바 있다. (p. 82)
  11. 3의 로직트리는 쉽게 말해 ‘어떤 주제든 3가지로 요약하고 정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p. 83)
  12. 3의 로직트리는 What tree, Why tree, How tree 3가지가 있다. (p. 90)
  13. 한마디로 기획이란 바라고 원하는 생각을 정리하는 활동이다. ‘기획’은 곧 ‘생각정리’다. (p. 103)
  14. 기획의 본질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라며 P(problem)는 S(solution)라고 했다. (p. 109)
  15. 브레인스토밍은 말로 생각을 표현하고, 브레인라이팅은 글로 생각을 표현한다. (p. 125)
  16. 질문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것은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을 할 수 있으며 정보를 처리하는 속도가 남들과 차원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p. 131)
  17. 질문을 잘할 수 있는 비법은 질문이 만들어지는 패턴을 발견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p. 132)
  18. 다르게 질문해야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p. 139)
  19. 사랑하는 만큼 생각하게 된다는 뜻이다. 천재들은 저마다 자신이 원하는 주제에 대해 오랫동안 치열하게 생각했던 사람들이다. (p. 141)
  20. 우리의 뇌는 모른다고 생각할 때 궁금함이 더 증폭되기 때문이다. (p. 152)
  21. 질문을 통해 답을 찾고 추론하며 머릿속에 책에 대한 큰 그림을 그려야 한다. (p. 155)
  22. 책을 읽는 이유는 생각을 하기 위해서다. 생각하는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 독서를 하는 것이다. (p. 169)
  23. 서로 토론하고 설명하며 학습하게 되면 90% 이상의 내용이 기억에 남는다. (p. 175)
  24. 스피치는 소수가 아닌 다수의 사람들에게 공공의 주제로 말을 하는 행위이다. (p. 184)
  25. 재미있거나 유익하거나 감동이 있는 내용, 다른 사람들에게 지식과 희망과 감동을 줄 수 있는 내용이 바로 스피치 콘텐츠다. (p. 186)
  26. 매일 일기를 쓰는 습관, 매일 독서를 하는 습관, 매일 사색을 하는 습관이 스피치를 잘할 수 있게 만들어준 것이다. (p. 194)
  27. 스피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당신이 하고 싶은 말 한마디를 찾는 것’이다. (p. 195)
  28. 일기쓰기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생각하고 정리할 수 있는 유용한 툴이다. (p. 217)
  29. 일반적인 글쓰기가 부담스러운 이유는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 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p. 223)
  30. 글이 씨가 된 것이다. 긍정적인 생각을 하니 긍정적인 행동과 결과가 나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다. (p. 228)
  31. 아주 사소한 일상도 기록을 해두면 가치가 생긴다. (p. 234)
  32. 인생그래프는 나 자신과 인생의 방향을 분석하기 위해 그리는 것이다. (p. 239)
  33. 인생그래프가 과거의 인생 흐름을 정리해줬다면, 버킷리스트는 미래를 꿈꾸게 해주고 정리해 주는 도구이다. (p. 243)

BOOK Comment 1-2-3
1. 알마인드가 이어준 인연.
2. 알마인드를 가장 잘 사용하는 유저 == 저자.
3. 마인드맵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다.

BOOK Underline 1-2-3
1. 생각을 열어주는 것은 답이 아니라 질문이다. 질문은 닫힌 생각을 열어준다.
2. 책을 읽는 이유는 생각을 하기 위해서다.
3. 알마인드는 이스트소프트가 개발한 디지털 마인드맵 프로그램이다.

BOOKSTORE : YES24, 알라딘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