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구글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 OKR – 크리스티나 워드케 지음 / 박수성 옮김
![[BOOK] Radical Focus](https://yujaewook.files.wordpress.com/2020/07/2020-02-03-06.50.20.jpg?w=300&h=300)
2020 상반기 정리 못한 독서 노트 – 3편
티비(TeeBee)라는 차(tea) 스타트업 경영진들의 이야기로 책이 시작된다. 이 경영진들이 OKR을 도입하고 적용하는 이야기를 통해 OKR을 설명하는 책이다.
- 하나의 목표와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세 가지 핵심 결과지표들을 정하면 위대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인 ‘집중’이라는 선물을 얻을 수 있다. (p. 154)
- 회사 생활의 모든 측면에 그 목표를 상기시키는 것들을 엮어놓아야 한다. (p. 155)
- 원래 OKR 시스템은 그저 똑똑하고 도전적인 목표들을 세우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이었다. (p. 157)
- 성공하는 회사들은 모두 똑같은 특징을 지닌다. 그들은 다시 시도한다. 성공을 향한 유일한 희망은 재도전이다. (p. 159)
- 당신의 생각과 메시지를 분명하게 정리하고 그런 다음 모든 사람들이 제대로 이해할 때까지 반복해서 소통해야 한다. (p. 160)
- 꿈을 향한 여정은 소망에서 시작하지만 집중, 계획, 학습으로만 목표한 곳에 도달할 수 있다. (p. 160)
- 훌륭한 사명은 영감을 주고 단도직입적이다. (p. 162)
- OKR은 목표와 핵심 결과지표를 나타낸다. 목표는 질적인 측면이고, 핵심 결과지표는(주로 세 가지) 양적 측면이다. (p.165 )
- 목표는 사명 문구와 비슷하지만 기간이 짧다는 점이 다르다. (p. 166)
- OKR은 항상 도전적인 목표들이어야 한다. (p. 169)
- OKR을 잘못 세웠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면 그냥 받아들고 실패하든가 아니면 전부 달성해버려라. (p. 174)
- 먼저 목표를 성과 평가 도구가 아니라 영감을 주고 성과를 높이는 도구로 재구성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p.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