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실리콘밸리의 팀장들 – 킴 스콧 지음 / 박세연 옮김
![[BOOK] Radical Candor](https://yujaewook.files.wordpress.com/2019/09/2019-08-08-06.46.41.jpg?w=300&h=300)
부제: “까칠한 인재마저 사로잡은 그들의 지독한 솔직함”
“조직적 평범함으로 끌려가지 않도록 저항하는 것” – ‘애플대학교의 사명’
뛰어난 개발자들이 모여드는 곳, 실리콘밸리에서 개발자들을 리딩하는 팀장들은 어떻게 일할까? 창조성이 넘치고,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직 전반의 개선을 어떻게 이끌어 낼 것인가?
전통적인 인재 관리 방식에서 성장 관리 방식으로 전환하고, 모든 구성원이 서로에게 관심을 기울이며 동료의 생각을 자기 것으로, 자기 생각을 동료의 것으로 통합하기 위해 노력할 때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다.
배를 만들고 싶다면 사람들에게 나무를 모아오라고 지시해선 안된다. 과제와 업무를 할당하지 말고, 그들이 바다의 무한함을 꿈꾸도록 만들어야 한다. (p. 112)
개발(코딩)은 논리의 영역이라 예측이 가능하고 내가 노력하면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다. 하지만 관리(리딩)은 사람을 상대하는 영역이라 모든 것이 예측불가고, 팀원들과 함께 노력해야 이룰 수 있는 것이 많다. 나 홀로 노력할 수 있는 관리의 영역은 좀 더 좋은 방향으로 리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고민해 보고, 이런 책을 읽어보는 정도인 것 같다.
- 칭찬과 비판이 사라진 문화는 팀과 성과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p. 10)
- 자신의 권위에 마음껏 도전하도록 허용한다. (p. 11)
- 관계는 확장하기 않아도 문화는 확장한다. (p. 18)
- 리더십과 관리를 테니스의 포핸드와 백핸드에 비유한다. 테니스 게임에서 이기려면 둘 다 능해야 한다. (p. 26)
- 조언, 팀 구축, 성과는 모든 상사가 책임져야 할 몫이다. (p. 28)
- 관계는 모든 일의 핵심이다. (p. 29)
- 상사는 직원에게 깊은 관심을 드러내면서도 미움받을 마음의 준비도 해야 한다. (p.36)
- 완전한 솔직함은 수직 체계와 거리가 멀다. (p. 39)
- 좋은 조언은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개인적 관심과 직접적 대립이다. 두 요소를 합친 것이 바로 완전한 솔직함이다. (p. 46)
- 혼내는 게 아닙니다. 분명하게 알려주는 거죠! (p. 49)
- 정답을 알고 있는 사람보다 정답에 다가가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최고의 상사가 된다. 그들은 끊임없이 배우고 발전한다. (p. 68)
- 사람들 대부분 삶과 경력 전반에 걸쳐 ‘급격한 성장 궤도’와 ‘점진적 성장 궤도’ 사이를 왔다 갔다 한다. (p. 78)
- 우리 모두는 특정 분야에서 탁월하다. 마찬가지로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사람은 없다. 이것이야말로 절대적인 진실이다. (p. 94)
- 상사의 역할을 기준을 정하고 이를 고수하는 일이다. (p. 96)
- 동료의 생각을 자기 것으로, 자기 생각을 동료의 것으로 통합하기 위해 노력할 때, 우리는 더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다. (p. 108)
- 처음부터 옳은 것이 아니라 올바른 해결책을 찾아나가는 방식이야말로 애플의 집중적인 운영 역량의 핵심이다. (p. 113)
- 실무에서 너무 멀어질 경우, 팀원들이 명료하게 이해하고, 논의에 참여하고, 의사결정을 내리고, 실행에 옮기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도움을 줄 수 없다. (p. 143)
- 관계와 책임은 닭과 달걀의 관계다. 좋은 관계 없이 책임을 다할 수 없으며, 책임을 다하려면 좋은 관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p. 152)
- 완전한 솔직함을 무엇보다 좋아하긴 하지만, 침묵보다는 불쾌한 공격을 더 환영한다고 밝히자. (p. 176)
- 조언을 최대한 빨리, 되도록 비공식적으로 전하는 것, 이것이 완전한 솔직함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p. 184)
- 강한 리더란 귀기울일 줄 아는 겸손함, 끊임없이 도전하는 자신감, 논쟁을 끝내고 실행에 옮길 때를 아는 지혜를 갖춘 인물이다. (p. 199)
- 꿈은 경력의 정점에서 그들이 이루고자 하는 것이자, 그들이 상상하는 최고의 삶을 의미한다. (p. 230)
- 상사의 성과는 직원의 직급이 아니라 생산성에 의존한다. (p. 237)
- 시간은 관계 형성에 대단히 중요한 요소다. (p. 256)
- 리더의 개인적 특성은 팀 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p.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