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BOOK] 실리콘밸리의 팀장들

[BOOK] 실리콘밸리의 팀장들 – 킴 스콧 지음 / 박세연 옮김

[BOOK] Radical Candor
[BOOK] Radical Candor

부제: “까칠한 인재마저 사로잡은 그들의 지독한 솔직함”

“조직적 평범함으로 끌려가지 않도록 저항하는 것” – ‘애플대학교의 사명’

뛰어난 개발자들이 모여드는 곳, 실리콘밸리에서 개발자들을 리딩하는 팀장들은 어떻게 일할까? 창조성이 넘치고,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직 전반의 개선을 어떻게 이끌어 낼 것인가?
전통적인 인재 관리 방식에서 성장 관리 방식으로 전환하고, 모든 구성원이 서로에게 관심을 기울이며 동료의 생각을 자기 것으로, 자기 생각을 동료의 것으로 통합하기 위해 노력할 때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다.

배를 만들고 싶다면 사람들에게 나무를 모아오라고 지시해선 안된다. 과제와 업무를 할당하지 말고, 그들이 바다의 무한함을 꿈꾸도록 만들어야 한다. (p. 112)

개발(코딩)은 논리의 영역이라 예측이 가능하고 내가 노력하면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다. 하지만 관리(리딩)은 사람을 상대하는 영역이라 모든 것이 예측불가고, 팀원들과 함께 노력해야 이룰 수 있는 것이 많다. 나 홀로 노력할 수 있는 관리의 영역은 좀 더 좋은 방향으로 리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고민해 보고, 이런 책을 읽어보는 정도인 것 같다.


  1. 칭찬과 비판이 사라진 문화는 팀과 성과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p. 10)
  2. 자신의 권위에 마음껏 도전하도록 허용한다. (p. 11)
  3. 관계는 확장하기 않아도 문화는 확장한다. (p. 18)
  4. 리더십과 관리를 테니스의 포핸드와 백핸드에 비유한다. 테니스 게임에서 이기려면 둘 다 능해야 한다. (p. 26)
  5. 조언, 팀 구축, 성과는 모든 상사가 책임져야 할 몫이다. (p. 28)
  6. 관계는 모든 일의 핵심이다. (p. 29)
  7. 상사는 직원에게 깊은 관심을 드러내면서도 미움받을 마음의 준비도 해야 한다. (p.36)
  8. 완전한 솔직함은 수직 체계와 거리가 멀다. (p. 39)
  9. 좋은 조언은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개인적 관심과 직접적 대립이다. 두 요소를 합친 것이 바로 완전한 솔직함이다. (p. 46)
  10. 혼내는 게 아닙니다. 분명하게 알려주는 거죠! (p. 49)
  11. 정답을 알고 있는 사람보다 정답에 다가가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최고의 상사가 된다. 그들은 끊임없이 배우고 발전한다. (p. 68)
  12. 사람들 대부분 삶과 경력 전반에 걸쳐 ‘급격한 성장 궤도’와 ‘점진적 성장 궤도’ 사이를 왔다 갔다 한다. (p. 78)
  13. 우리 모두는 특정 분야에서 탁월하다. 마찬가지로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사람은 없다. 이것이야말로 절대적인 진실이다. (p. 94)
  14. 상사의 역할을 기준을 정하고 이를 고수하는 일이다. (p. 96)
  15. 동료의 생각을 자기 것으로, 자기 생각을 동료의 것으로 통합하기 위해 노력할 때, 우리는 더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다. (p. 108)
  16. 처음부터 옳은 것이 아니라 올바른 해결책을 찾아나가는 방식이야말로 애플의 집중적인 운영 역량의 핵심이다. (p. 113)
  17. 실무에서 너무 멀어질 경우, 팀원들이 명료하게 이해하고, 논의에 참여하고, 의사결정을 내리고, 실행에 옮기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도움을 줄 수 없다. (p. 143)
  18. 관계와 책임은 닭과 달걀의 관계다. 좋은 관계 없이 책임을 다할 수 없으며, 책임을 다하려면 좋은 관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p. 152)
  19. 완전한 솔직함을 무엇보다 좋아하긴 하지만, 침묵보다는 불쾌한 공격을 더 환영한다고 밝히자. (p. 176)
  20. 조언을 최대한 빨리, 되도록 비공식적으로 전하는 것, 이것이 완전한 솔직함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p. 184)
  21. 강한 리더란 귀기울일 줄 아는 겸손함, 끊임없이 도전하는 자신감, 논쟁을 끝내고 실행에 옮길 때를 아는 지혜를 갖춘 인물이다. (p. 199)
  22. 꿈은 경력의 정점에서 그들이 이루고자 하는 것이자, 그들이 상상하는 최고의 삶을 의미한다. (p. 230)
  23. 상사의 성과는 직원의 직급이 아니라 생산성에 의존한다. (p. 237)
  24. 시간은 관계 형성에 대단히 중요한 요소다. (p. 256)
  25. 리더의 개인적 특성은 팀 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p. 277)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bloggers like this: